근로자 건강진단 개요 |
1 근로자 건강진단이란?
근로자는 일하는 동안 다양한 유해인자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건강진단을 통해 건강이상을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하여 직업성 질환을 예방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사업주가 상시 근로자에 대해 일반건강진단을 하도록 하고, 보다 각별한 건강관리가 필요한 유해인자에 노출되는 근로자에 대해서는 일반건강진단에 더하여 배치전 건강진단, 특수 건강진단 수시 건강진단을 수행해햐 한다.
2 근로자 건강진단의 종류
대상근로자 | 건강진단 종류 | 실시주기 & 시기 |
상시근로자 | 일반건강진단 | 사무직 2년 1회, 비사무직 1년 1회 |
특수건강진단 대상 유해인자 (178종) 노출 근로자 | 배치전 건강진단 | 업무 배치 전 |
특수 건강진단 | 유해인자별 6개월 ~ 24개월 1회 (다만, 배치 후 첫 번째 특수건강진단의 경우 유해인자별로 1개월 ~ 12개월) |
|
수시 건강진단 | 근로자에게 건강장해 의심 증상을 보이거나 의학적 소견이 있는 경우 |
일반건강진단 | • 상시 사용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건강관리를 위하여 사업주가 주기적으로 실시 하는 건강진단 • 사무직 근로자 : 2년에 1회 이상, 그 밖의 근로자 : 1년에 1회 이상) • 입사일로부터 ~ 해당 년도 말까지 • 사무직 근로자 : 공장 또는 공사현장과 같은 구역에 있지 아니한 사무실에서 서무 인사·경리판매·설계 등의 사무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판매업무 등에 직접 종사하는 근로자는 제외) |
배치전 건강진단 | 특수건강진단 대상 업무에 종사할 근로자에 대하여 배치 예정 업무에 대한 적합성 평가를 위해 실시하는 건강진단 |
특수건강진단 | 특수건강진단 대상 유해인자에 노출되는 업무 종사 근로자, 직업병 유소견 판정의 특수건강진단 원인이 된 유해인자에 대한 건강진단이 필요하다는 의사의 소견이 있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건강진단 |
수시 건강진단 | 특수건강진단 대상 업부로 인하여 해당 유해인자에 의한 직업성 천식·직업성 피부염, 그 밖에 건강장해를 의심하게 하는 증상을 보이거나 의학적 소견이 있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건강진단 |
임시건강진단 | 특수건강진단 대상 유해인자 등의 중독여부 및 원인을 확인하기 위해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의 명령에 의해 실시되는 건강진단 |
※ 비용 : 일반건강진단, 특수건강진단, 배치전건강진단, 수시건강진단, 임시건강진단의 비용은 「국민건강보험법」에서 정한 기준에 따른다.
건강진단 (일반, 특수, 배치전, 수시, 임시) |
1 일반건강진단
• 상시 사용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건강관리를 위하여 사업주가 주기적으로 실시하는 건강진단
• 사무직 근로자 : 2년에 1회 이상, 그 밖의 근로자 : 1년에 1회 이상)
• 사무직 근로자 : 공장 또는 공사현장과 같은 구역에 있지 아니한 사무실에서 서무 인사·경리·판매·설계 등의 사무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판매업무 등에 직접 종사하는 근로자는 제외)
제1차 검사항목 | 제2차 건강진단 |
1. 과거병력, 작업경력 및 자각ㆍ타각증상(시진ㆍ촉진ㆍ청진 및 문진) 2. 혈압ㆍ혈당ㆍ요당ㆍ요단백 및 빈혈검사 3. 체중ㆍ시력 및 청력 4. 흉부방사선 촬영 5. AST(SGOT) 및 ALT(SGPT), γ-GTP 및 총콜레스테롤 |
1차 검사 결과 질병의 확진이 곤란한 경우 건강진단의 범위, 검사항목, 방법 및 시기 ☞ 근로자 건강진단 실시기준 |
※ 혈당ㆍγ-GTP 및 총콜레스테롤 검사 대상자 (1차) - 근로자 건강진단 실시기준
• 혈당 검사 : 직전 일반건강진단에서 “당뇨병 의심(R)” 판정을 받은 근로자
• 총콜레스테롤 검사
가. 직전 일반건강진단에서 “고혈압 요관찰(C)” 판정을 받은 근로자
나. 일반건강진단시 실시한 혈압측정에서 수축기 또는 이완기 혈압이 각각 150㎜Hg 또는 95㎜Hg 이상 초과한 근로자
• 감마지ㆍ티ㆍ피 검사 : 35세 이상인 근로자
2 배치전 건강진단
• 특수건강진단 대상업무에 종사할 근로자에 대하여 배치 예정업무에 대한 적합성 평가를 위하여 사업주가 실시하는 건강진단
• 시기 : 특수건강진단대상업무에 근로자를 배치하려는 경우에는 해당 작업에 배치하기 전에 배치전건강진단을 실시해야 하고, 특수건강진단기관에 해당 근로자가 담당할 업무나 배치하려는 작업장의 특수건강진단 대상 유해인자 등 관련 정보를 미리 알려 주어야 한다.
• 배치전 건강진단 대상 유해인자, 검진항목 등은 특수건강진단과 동일하다.
3 특수건강진단
• 특수건강진단 대상 유해인자에 노출되는 업무 종사 근로자, 직업병 유소견 판정의 특수건강진단 원인이 된 유해인자에 대한 건강진단이 필요하다는 의사의 소견이 있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건강진단
(1) 특수건강진단 대상 유해인자에 노출되는 업무(이하 "특수건강진단대상업무"라 한다)에 종사하는 근로자)
(2) 근로자건강진단 실시 결과 직업병 유소견자로 판정받은 후 작업 전환을 하거나 작업장소를 변경하고, 직업병 유소견 판정의 원인이 된 유해인자에 대한 건강진단이 필요하다는 의사의 소견이 있는 근로자
✅ 특수건강진단의 시기 및 주기(제202조제1항 관련)
구분 | 대상 유해인자 | 시기 (배치 후 첫 번째 특수건강진단) | 주기 |
1 |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
1개월 이내 | 6개월 |
2 | 벤젠 | 2개월 이내 | 6개월 |
3 | 1,1,2,2-테트라클로로에탄 사염화탄소 아크릴로니트릴 염화비닐 |
3개월 이내 | 6개월 |
4 | 석면, 면 분진 | 12개월 이내 | 12개월 |
5 | 광물성 분진 목재 분진 소음 및 충격소음 |
12개월 이내 | 24개월 |
6 | 제1호부터 제5호까지의 대상 유해인자를 제외한 별표22의 모든 대상 유해인자 | 6개월 이내 | 12개월 |
※ 특수건강진단 주기를 1/2로 단축해야 하는 경우
• 작업환경을 측정한 결과 노출기준 이상인 작업공정에서 해당 유해인자에 노출되는 모든 근로자
• 특수건강진단, 수시건강진단, 임시건강진단 실시 결과 직업병 유소견자가 발견된 작업공정에서 해당 유해인자에 노출되는 모든 근로자.
• 특수건강진단, 임시건강진단 실시 주기를 단축해야 한다는 의사의 소견을 받은 근로자
✅ 특수건강진단 대상 유해인자
✅ 특수건강진단ㆍ배치전건강진단ㆍ수시건강진단의 검사항목
4 수시건강진단
• 특수건강진단 대상업무로 인하여 해당 유해인자에 의한 직업성 천식, 직업성 피부염, 그 밖에 건강장해를 의심하게 하는 증상을 보이거나 의학적 소견이 있는 근로자에 대하여 사업주가 실시하는 건강진단을 말한다.
• 수시건강진단 요청자 : 산업보건의, 보건관리자, 보건관리 업무를 위탁받은 기관 및 명예산업안전감독관
• 대상 유해인자, 검진항목 등은 특수건강진단과 동일하다.
5 임시건강진단
• 특수건강진단 대상 유해인자 또는 그 밖의 유해인자에 의한 중독 여부, 질병에 걸렸는지 여부 또는 질병의 발생 원인 등을 확인하기 위하여 법 제43조제2항에 따른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의 명령에 따라 사업주가 실시하는 건강진단
(1) 같은 부서에 근무하는 근로자 또는 같은 유해인자에 노출되는 근로자에게 유사한 질병의 자각·타각증상이 발생한 경우
(2) 직업병 유소견자가 발생하거나 여러 명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
(3) 그 밖에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 근로자 건강진단 실시 기준
건강진단 결과 후속 업무 |
1 건강진단 결과의 통보
일반건강진단 | 특수건강진단 (특수/배치전/수시/임시) |
30일 이내 사업주에게 통보 | 유소견자가 발견되면 30일 이내 개인에게 통보 30일 이내 사업주에게 통보 30일 이내 고용노동부로 제출 (전산입력 가능) |
-의학적 소견 -사후관리에 관한 사항 -업무수행의 적합성 여부 |
|
별지 제84호서식 일반건강진단 결과표 |
별지 제85호서식 특수ㆍ배치전ㆍ수시ㆍ임시건강진단 결과표 |
2 건강진단 결과
건강관리 구분
A | 건강한 근로자 또는 경미한 이상소견이 있는 근로자 |
C1 | 직업성 질병으로 진전 될 우려가 있어 추적 검사 등 관찰이 필요한 근로자(요관찰자) |
C2 | 일반질병으로 진전될 우려가 있어 추적 관찰이 필요한 근로자(요관찰자) |
CN | 질병으로 진전될 우려가 있어 야간 작업 시 추적관찰이 필요한 근로자(요관찰자) |
D1 | 직업성질병의 소견이 있는 근로자 (직업병 유소견자) |
D2 | 일반질병의 소견이 있는 근로자 (일반질병 유소견자) |
DN | 질병의 소견을 보여 야간작업 시 사후관리가 필요한 근로자(유소견자) |
R | 건강진단 1차 검사결과 건강수준의 평가가 곤란하거나 질병이 의심되는 근로자 (제2차 건강진단 대상자) |
사후관리조치판정
• 건강상담
• 보호구지급 및 착용지도
• 추적검사
• 근무중 치료
• 근로시간단축
• 작업전환
• 근로제한 및 금지
• 산재요양신청서 직접 작성 등 해당 근로자에 대한 직업병 확진 의뢰 안내
업무수행적합여부 (질병유소견자에 대하여 구분함)
• 건강관리상 현재의 조건하에서 작업이 가능한 경우
• 일정한 조건(환경개선, 개인보호구 착용, 건강진단의 주기를 앞당기는 경우 등)하에서 현재의 작업이 가능한 경우
• 건강장해가 우려되어 한시적으로 현재의 작업을 수 없는 경우(건강상 또는 근로조건상의 문제를 해결한 후 작업복귀 가능)
• 건강장해의 악화 혹은 영구적인 장해발생으로 현재의 작업을 해서는 안 되는 경우
3 건강관리카드
건강관리카드에 관한 사항은 아래 포스팅 참조
4 사후관리조치
사후관리조치에 관한 사항은 아래 포스팅 참조
특수 건강진단 대상 유해인자 확인 방법 |
파견업체의 안전관리자 채용 및 안전관리 책임
파견업무를 하고 있는 업체로 현재 종업원이 300명정도 되는데 안전관리자를 채용할 의무가 있는지, 또한 사고가 났을 때 사업주의 의무와 관리감독자의 의무 및 법정 안전교육은 어디까지인지 ?
회 시
1. 근로자파견사업을 하는 회사에 고용되어 그 고용관계를 유지하면서 근로자 파견계약의 내용에 따라 사용사업주의 지휘․명령을 받아 사용사업주를 위한 근로에 종사하게 하는 근로자(이하 파견근로자)에 대한 사업주의 임무 중
○ 안전․보건조치 의무는 파견근로자보호등에관한법률 제35조 규정에 의하여 원칙적으로 사용사업주에게 있으므로,
○ 안전관리자의 선임의무는 사용사업주의 사업의 종류 및 근로자 수(파견 근로자를 포함)에 따라 산업안전보건법 제15조에 의한 안전관리자 선임대상 여부를 판단하여야 하며,
○ 산업재해의 예방을 위한 조치 및 관리감독, 안전교육 등 안전․보건상의 조치의무도 파견근로자에게 직접 작업지시를 하는 사용사업주에게 있음.
2. 다만, 예외적으로 근로자건강진단(정기 또는 채용시) 실시와 그 결과의 근로자 및 사용사업주에게 송부 의무는 파견사업주에게 있고,
○ 건강진단 결과에 따른 근로자의 건강보호를 위한 필요한 조치의무(작업장소의 변경, 작업의 전환 및 근로시간의 단축)는 사용․파견사업주 모두에게 있음을 알려 드림.
(산안 68320-86, 2001.02.12.)
도급업체와 수급업체간의 교육 및 건강진단 실시에 대한 법적 책임 여부
건설현장의 근로자에 대한 신규채용․정기교육 및 건강진단은 원청회사에서 실시하고 있으나 작업의 대부분이 협력회사 근로자에 의한 작업수행이 이루어지므로 협력회사에서 직접 실시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되는바 협력회사에서 동 교육 및 건강진단을 실시하도록 하는 경우 원청회사와 협력회사의 법적인 책임 여부
회 시
산업안전보건법 제31조 및 제43조의 규정에 의하여 사업주는 소속 근로자에 대하여 안전․보건에 관한 교육, 근로자에 대한 정기적인 건강진단을 실시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근로자에 대한 교육 및 건강진단의 실시주체는 소속 사업주임. 따라서 귀사와 같이 공정의 일부를 도급에 의하여 수행하는 건설현장의 경우 수급인이 사용하는 근로자라면 수급인인 사업주(협력 또는 하청회사)가 소속 근로자에 대한 산업안전보건법 제31조 및 제43조의 규정에 의한 교육 및 건강 진단 등의 의무를 이행하여야 함 다만, 산업안전보건법 제29조제1항제3호에 의하여 도급인인 사업주(원청회사)는 그가 사용하는 근로자와 그의 수급인이 사용하는 근로자가 동일한 장소에서 작업을 할 때에 생기는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수급인이 행하는 근로자의 안전․보건교육에 대한 지도와 지원을 해야 할 의무가 있음.
(안정 68307-718, 2001.08.13.)
공업계 실습생의 채용시건강진단 실시여부
공업계 고3 실습생의 경우 채용시 건강진단을 실시해야 하는지?
회 시
고등학교 재학생이 사업장에서 실습을 할 경우 그 근로형태가 근로자로 채용 된 것이라면 산업안전보건법을 적용받게 되므로 안전․보건교육과 채용시건강 진단을 실시하여야 함. 그러나, 단순히 학교수업의 연장으로 일정기간 동안 기능을 습득하기 위한 것이라면 근로자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산업안전보건법을 적용받지 않음.
(산보 68307-491, 2000.07.12.)
단시간작업 및 임시작업 종사자의 특수건강진단 대상 여부
"임시작업"이란 일시적으로 하는 작업 중 월 24시간 미만인 작업을 말함. 다만, 월 10시간 이상 24시간 미만인 작업이 매월 행하여지는 작업은 제외함. "단시간작업"이란 관리대상 유해물질을 취급하는 시간이 1일 1시간 미만인 작업을 말함. 다만, 1일 1시간 미만인 작업이 매일 수행되는 경우는 제외함.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420조)
회 시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93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해 작업환경측정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 같은 법 제98조 제3호의 특수건강진단을 실시해야 하는지 여부?
회 시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93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한 단시간 작업, 임시 작업 등이라 하더라도 같은 법 시행규칙 제98조 제3호의 특수건강진단 대상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에 대해서는 특수건강진단의 대상이 됨. (산업보건환경과-511, 2005년 3월17일)
특수건강진단지정기관 목록 2023.02.14
1
'H-보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반건강진단 건강관리, 질병구분, 관리요령 (0) | 2020.12.17 |
---|---|
유해인자별 영향 및 대책 (화학적인자, 물리적인자, 분진, 야간작업) (0) | 2020.12.17 |
특별관리물질을 취급하면 챙겨야 할 사항 정리 - 산안법 보건 (2) | 2020.12.10 |
건강관리카드 발급 및 관리 (2) | 2020.11.22 |
비스페놀A (BPA) 환경호르몬에 관하여 (0) | 2020.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