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환경안전기술원입니다.
자율안전확인신고 필수인 공작기계는 끼임 및 절단재해가 주로 발생하는 위험기계로,
특히나 밀링기와 드릴기가 위험성이 높아 안전수칙 가이드가 존재합니다.
사업장에서 밀링기와 드릴기를 사용하고 계시다면 오늘 내용 유의해서 봐주시기 바랍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F8h5h/btsI78O7XTz/GEfAvFuMUkbGXxgwuSk8G1/img.jpg)
⚙️드릴기
: 공작물을 테이블 위에 고정시키고 주축에 장착된 드릴공구를 회전시켜서
축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공작물에 구멍가공을 하는 공작기계
![](https://blog.kakaocdn.net/dn/bUArBz/btsI9V8nmfp/xAyAFW5GDRJzvLN3F4nSAK/img.jpg)
⚙️밀링기
: 여러개의 절삭날이 부착된 절삭공구의 회전운동을 이용해 고정된 공작물을 가공하는 공작기계
![](https://blog.kakaocdn.net/dn/nJb37/btsI93FhkjZ/DlgR06tpsDx4lR9CRKDKQk/img.jpg)
드릴기 주요 위험원
|
||
▶ 작업점이나 동력 전달부 등의 부적절한 가드
|
||
▶전원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풀리, 벨트, 드릴 등의 교체나 고정, 주유 또는 유지보수
|
||
▶드릴기 날이 돌고 있는 동안 가공깊이 설정, 가공물 위치조정 또는 고정 등
|
기술적 대책
다음의 사항 등 해당 기계에 적합한 대책을 수립한다.
- 전동기, 벨트, 풀리 등에 덮개를 설치한다.
![](https://blog.kakaocdn.net/dn/ICIhw/btsI927rPhu/VcFkJUKI1v04oKEp79lzFk/img.jpg)
2.가공물 위의 사용되지 않는 드릴, 척 부위 등을 덮을 수 있는 조정가드를 설치한다.
![](https://blog.kakaocdn.net/dn/6IDRE/btsI9tLj0Uv/e6anUgL1bIUfUZkm3DkEC0/img.jpg)
3. 척, 나사 등은 돌출되지 않도록 안전척, 세트 스크류 등을 사용한다.
4. 기동 스위치가 사고 등으로 인해 돌발적으로 눌려지지 않도록 덮개 등을 설치한다.
관리적 대책
기술적 대책과 아울러 다음 등 당해 설비에 적합한 관리적 대책을 적용한다.
|
![](https://blog.kakaocdn.net/dn/MyuX1/btsI9GwSYon/1krQl12OBNrl5zgK6bPCtk/img.png)
밀링기 주요 위험원
|
||
▶ 커터가 회전하고 있는 동안 가공물을 탑재하거나 내릴 때, 가공량을 설정하거나, 가공 부위를 측정할 때
|
||
▶ 스위치는 꺼져있으나 커터가 회전하고 있을 때, 또는 커터가 정지했더라도 전원이 투입되어 있는 동안 시운전, 부품교체, 주유 등을 하거나, 낀 물체, 과도한 윤활유, 칩 등을 제거할 때
|
||
▶ 장신구나 느슨한 작업복을 착용할 때
|
기술적 대책
다음의 사항 등 해당 기계에 적합한 대책을 수립한다.
- 테이블이 철수하면 커터를 감싸는 자폐식 가드를 설치한다.
- 테이블 주위에 인터록 가드 설치, 커터 날 정지 브레이크가 설치된 경우 인터록 가드를 열거나 제거하면 브레이크가 작동하도록 한다.
- 작업상 커터 날을 감싸는 가드를 설치할 수 없거나 이로 인해 추가 위험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윤활유나 칩 비상 방지 가드 또는 차폐판 등 당해 작업에 적합한 가드를 설치한다.
![](https://blog.kakaocdn.net/dn/dPnioM/btsI8iqGnp2/3AVkKYHOF820yIOOBKfYE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87gCR/btsI8OJputt/8TO8ekSkdMZE9WkF53NJp0/img.png)
관리적 대책
기술적 대책과 아울러 다음 등 당해 설비에 적합한 관리적 대책을 적용한다.
|
공작기계의 위험원을 파악하고, 방호장치 살펴보았습니다.
자율안전확인신고시 각 위험기계마다 위험요인이 다른만큼 방호장치 또한 달라집니다.
자율안전확인신고 컨설팅을 통해 기계의 위험성을 평가하고
적절한 방호장치를 갖추어 KCs 인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자율안전확인신고 컨설팅이 필요하시다면 환경안전기술원을 찾아주세요!
감사합니다.
'Partner > ESTI (환경안전기술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정안전보고서 작성 필수 대상물질 및 업종은? (1) | 2024.09.03 |
---|---|
사업장 위험성평가 1단계 사전준비 총정리 (1) | 2024.08.27 |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영업취소 및 영업정지 사유 필독 (1) | 2024.08.13 |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위험도 분석 작성방법 알려드립니다! (1) | 2024.08.06 |
유해화학물질 설치검사 컨설팅으로 적합 판정 받아보세요 (1) | 2024.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