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재해 발생현황 발표 - 2022. 6월말 [고용노동부] |
1 사망만인율 및 사망자수
■ 사망만인율: 0.58‱(전년 동기 대비 0.01‱p 감소)
- 사고사망만인율: 0.23‱(전년 동기 대비 0.02‱p 감소)
- 질병사망만인율: 0.35‱(전년 동기 대비 동일)
■ 사망자수: 1,142명(전년 동기 대비 5명(0.4%) 증가)
- 사고사망자수: 446명(전년 동기 대비 28명(5.9%) 감소)
- 질병사망자수: 696명(전년 동기 대비 33명(5.0%) 증가)
2 재해율 및 재해자수
■ 재해율: 0.31%(전년 동기 대비 동일)
- 사고재해율: 0.26%(전년 동기 대비 동일)
- 질병재해율: 0.06%(전년 동기 대비 0.01%p 증가)
■ 재해자수: 61,822명(전년 동기 대비 3,152명(5.4%) 증가)
- 사고재해자수: 50,611명(전년 동기 대비 1,565명(3.2%) 증가)
- 질병재해자수: 11,211명(전년 동기 대비 1,587명(16.5%) 증가)
3 주요 특징
○ 사고사망자
- 건설업(222명, 49.8%), 5인 미만 사업장(185명, 41.5%), 60세 이상 근로자(190명, 42.6%), 떨어짐(169명, 37.9%)이 가장 많이 발생
- 업종
·감소: 건설업(-18명), 제조업(-8명), 기타의사업(-3명), 농업(-3명), 광업(-3명), 어업(-1명)
·증가: 운수창고통신업(+6명), 임업(+1명), 전기가스증기및수도사업(+1명)
·동일: 금융및보험업
- 규모
·감소: 5인~49인(-36명), 50인~99인(-7명)
·증가: 5인 미만(+4명), 100인~299인(+9명), 1,000인 이상(+2명)
·동일: 300인~999인
- 재해유형
·떨어짐(169명, 37.9%), 부딪힘(48명, 10.8%), 교통사고(46명, 10.3%), 끼임(37명, 8.3%), 깔림·뒤집힘(30명, 6.7%) 순으로 많이 발생
·감소: 떨어짐(-41명), 끼임(-20명), 절단·베임·찔림(-3명), 깔림·뒤집힘(-1명)
·증가: 부딪힘(+10명), 교통사고(+9명), 넘어짐(+2명), 무너짐(+2명), 물체에맞음(+1명), 화재·폭발·파열(+1명), 무리한동작(+1명)
○ 질병사망자
- 광업(232명, 33.3%), 5인~49인 사업장(226명, 32.5%), 60세이상 근로자(368명, 52.9%), 진폐(247명, 35.5%)가 가장 많이 발생
- 업종
·감소: 기타의사업(-14명), 제조업(-9명), 금융및보험업(-4명), 전기가스증기및수도사업(-2명), 어업(-1명)
·증가: 광업(+56명), 농업(+3명), 건설업(+2명), 운수창고통신업(+2명)
·동일: 임업
- 규모
·감소: 5인 미만(-17명), 5인~49인(-3명)
·증가: 50인~99인(+1명), 100인~299인(+14명), 300인~999인(+34명), 1,000인 이상(+4명)
- 질병종류
·진폐(247명, 35.5%), 뇌심질환(245명, 35.2%), 직업성암(92명, 13.2%) 순으로 많이 발생
·감소: 뇌심질환(-28명), 금속및중금속중독(-8명)
·증가: 직업성암(+36명), 진폐(+30명), 기타화학물질중독(+24명),
유기화합물중독(+2명)
○ 재해자
- 기타의사업(22,894명, 37.0%), 5인~49인 사업장(25,291명, 40.9%), 60세 이상 근로자(21,557명, 34.9%), 넘어짐(11,777명, 19.0%)이 가장 많이 발생
- 업종
·감소: 제조업(-364명), 어업(-9명)
·증가: 운수창고통신업(+1,303명), 건설업(+941명), 기타의사업(+747명), 광업(+387명), 금융및보험업(+124명), 농업(+13명), 전기가스증기및수도사업(+6명), 임업(+4명)
- 규모
·감소: 없음
·증가: 5인 미만(+107명), 5인~49인(+524명), 50인~99인(+455명), 100인~299인(+952명), 300인~999인(+765명), 1,000인 이상(+349명)
- 재해유형
·넘어짐(11,777명, 19.0%), 떨어짐(6,903명, 11.2%), 끼임(6,506명, 10.5%), 절단·베임·찔림(4,836명, 7.8%), 부딪힘(4,270명, 6.9%) 순으로 많이 발생
·감소: 넘어짐(-357명), 절단·베임·찔림(-234명), 떨어짐(-176명), 물체에맞음(-95명), 끼임(-45명), 화재·폭발·파열(-29명), 무너짐(-22명)
·증가: 무리한동작(+893명), 교통사고(+675명), 부딪힘(+513명), 깔림·뒤집힘(+105명)
○ 사고재해자
- 기타의사업(19,721명, 39.0%), 5인~49인 사업장(21,699명, 42.9%), 60세 이상 근로자(15,623명, 30.9%), 넘어짐(11,777명, 23.3%)이 가장 많이 발생
- 업종
·감소: 제조업(-671명), 어업(-6명)
·증가: 운수창고통신업(+1,303명), 건설업(+532명), 기타의사업(+305명), 금융및보험업(+77명), 전기가스증기및수도사업(+7명), 광업(+7명), 임업(+7명), 농업(+4명)
- 규모
·감소: 5인 미만(-139명)
·증가: 5인~49인(+198명), 50인~99인(+259명), 100인~299인(+662명),
300인~999인(+242명), 1,000인 이상(+343명)
- 재해유형
·넘어짐(11,777명, 23.3%), 떨어짐(6,903명, 13.6%), 끼임(6,506명, 12.9%), 절단·베임·찔림(4,836명, 9.6%), 부딪힘(4,270명, 8.4%) 순으로 많이 발생
·감소: 넘어짐(-357명), 절단·베임·찔림(-234명), 떨어짐(-176명), 물체에맞음(-95명), 끼임(-45명), 화재·폭발·파열(-29명), 무너짐(-22명)
·증가: 무리한 동작(+893명), 교통사고(+675명), 부딪힘(+513명), 깔림·뒤집힘(+105명)
○ 질병재해자
- 제조업(3,831명, 34.2%), 5인~49인 사업장(3,592명, 32.0%), 60세 이상 근로자(5,934명, 52.9%), 신체부담작업(3,165명, 28.2%)이 가장 많이 발생
- 업종
·감소: 임업(-3명), 어업(-3명), 전기가스증기및수도사업(-1명)
·증가: 기타의사업(+442명), 건설업(+409명), 광업(+380명), 제조업(+307명), 금융및보험업(+47명), 농업(+9명)
·동일: 운수창고통신업
- 규모
·감소: 없음
·증가: 5인 미만(+246명), 5인~49인(+326명), 50인~99인(+196명),100인~299인(+290명), 300인~999인(+523명), 1,000인 이상(+6명)
- 질병종류
·신체부담작업(3,165명, 28.2%), 난청(2,704명, 24.1%), 요통(2,406명, 21.5%) 순으로 많이 발생
·감소: 뇌심질환(-81명), 금속및중금속중독(-18명)
·증가: 난청(+760명), 신체부담작업(+160명), 직업성암(+150명), 진폐(+93명), 유기화합물중독(+43명), 요통(+28명), 기타화학물질중독(+11명)
'S-안전 > 산업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직자도 산업재해 발생신고를 해야 하나요? (0) | 2022.10.09 |
---|---|
MSDS 및 화학물질 관리요령 전산장비로 게시 허용 [고용노동부] (0) | 2022.09.24 |
건설업 안전관리자 양성교육 (84시간 교육 이수 후 안전관리자 자격 취득) (7) | 2022.08.31 |
건설업 재해예방 기술지도 (건설공사 발주자 의무, 2022.08.18부) (3) | 2022.08.21 |
안전 보건관리자 선임, 원청과 하청의 근로자수를 합산하는가? (2) | 2022.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