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기의 발생 메카니즘 |
🔹 정전기 관련 용어
•정전기
대지와 절연된 물체 등에 마찰, 박리 등에 의하여 전하가 충전되는 현상
•정전기 방전(Electrostatic discharge)
가연성 혼합물을 점화시킬 수 있는 불꽃방전, 코로나방전, 브러시방전 등의 형태로 정전기가 에너지를 포함한 형태로 방출되는 것을 말한다.
•방전
정전기 방전은 정전기의 전기적 원리에 의해 일어나는 전리작용으로 대전물체에 의한 정전기가 공기의 절연파괴강도(직류인 경우 30[㎸/㎝])에 달한 경우에 일어나는 기체 전리작용이다.
•최소점화에너지 (MIE : Minimum ignition energy) :
증기-공기 혼합물이 점화되는데 필요한 최소 에너지는 농도에 따라 변화한다. 대부분의 물질에서, 점화되는 최소에너지는 연소하한과 연소상한 사이의 중간 농도지점에서 나타나는데 이 값을 최소점화에너지 (MIE : Minimum ignition energy)라 한다.
🔹 정전기 발생
• 안정된 물체에 외부자극(마찰 · 박리 · 유동 등)이 가해지면 물체 내 자유전자가 외부로 방출
• 자유전자는 최소에너지인 일함수에 의해 크기 결정
• 접촉 전위는 일함수의 차로서 나타난다.
🔹 정전기 발생처
•인체 정전기 (의복)
•분체의 Pipe Line 수송 및 저장후 배출시 마찰
•분체 Sieving기 에서의 마찰, 분체 배출시 마창
•분체 Blender 및 Mixer (혼련기, 혼합기)에서의 마찰
•Bag Filter의 교체 작업시 마찰
•분체 및 액상 제품의 포장 작업 (25kg Bag, Flecon Bag 포장, 용기)
•H.C류 물질의 Pipe Line 수송 (C2”, C3”, n-Hx, H2, NaOH, B-C 등)
•화학설비 내부 청소작업 중 공정 용기 내부에서의 덩어리 낙하
•Pipe Line의 Poly-Pig를 사용한 Cleaning작업
•용기내부로 고형물을 투입하는 작업 (Dryer, Adsorber의 흡착제 투입작업)
•Film 가공작업 (제막 작업실)
•Tank Lorry Unloading / Loading 작업 (1-C4”, B-C, Chemical 약품 등)
•공정 Sampling 작업 (가연성분체, Hx, 가연성 Slurry, 고압가스, 액상위험물 등)
•Agitator(교반기) 회전에 의해 물질간의 충돌로 인하여 발생
•진공청소기 사용시 발생
🔹 정전기 발생 메카니즘
![](https://blog.kakaocdn.net/dn/cPCpMc/btqDRNhKw86/TGBsZI7V6eTp00wnPKcGBk/img.png)
전기 이중층 형성 (전하의 이동) |
• A, B 두 물체를 접촉시키면 A물체는 (+)로 B물체는 (-)로 대전하여 전기적 이중층이 형성 |
전기적 이중층의 분리 (전하분리) |
• A, B 두 물체가 분리되면 정전용량 C[F]의 크기 감소 C = ε * S / d [F] 단, ε : 극판사이의 유전율, S : 극판면적[m], d : 극판거리 [m] • 접촉전위는 정전용량에 반비례 하므로 상승 • 두 물체가 완전히 분리될 때까지 전도에 의해 발생된 전하의 역류현상 발생 |
전하의 소멸 | • 분리된 물체에 발생된 전하는 누설과 재결합의 과정을 거치며 소멸 • 전하의 소멸은 정,부 전하가 서로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중성이 되는 현상 |
🔹 정전기 대전의 종류
마찰대전 | 그림 |
• 두 물체의 마찰이나 마찰에 의한 접촉위치 이동으로 전하의 분리 및 재배열이 일어나 발생하는 정전기 • 고체류, 액체류, 분체류 등의 정전기가 이러한 마찰에 기인 • 예 : 유리봉을 모직물로 마찰할 때, 책상에 책받침을 마찰하는 경우 등 |
![]() |
박리대전 |
그림 |
• 서로 밀착되어 있던 물체가 떨어질 때 전하의 분리가 일어나 발생하는 정전기 • 예 : 옷을 벗을 때, 필름의 점착지 등을 떼어낼 때 등 |
![]() |
충돌대전 |
그림 |
• 분체류와 같은 입자 상호간 • 입자와 고체의 충돌에 의해 빠른 접촉·분리가 행해짐에 따라 발생하는 정전기 • 예 : 스프레이건을 이용한 벽체 도장 시 등 |
![]() |
분출대전 |
그림 |
• 분체류, 액체류, 기체류가 단면적이 작은 분출구를 통해 공기 중으로 배출될 때 • 분출물질과 분출구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기 • 예 : 고압스팀 배관에서의 스팀 분출 시 등 |
![]() |
유동대전 |
그림 |
• 파이프로 액체류 이송 시 액체와 파이프의 마찰로 인해 전기이중층이 형성 • 이 때 발생된 전하가 액체와 함께 유동함으로써 발생하는 정전기 • 발생 영향 요인 : 유동속도, 흐름의 상태, 굴곡, 파이프의 재질 등 • 예 : 주유소 저장탱크와 탱크로리 등 |
![]() |
파괴대전 |
그림 |
• 고체나 분체류 등이 파괴될 때 전하의 분리 또는 정, 부 전하의 균형이 깨지면서 발생하는 정전기 | ![]() |
교반대전 |
그림 |
• 탱크로리나 탱크 내의 액체가 서로 교반 될 때 발생하는 정전기 | ![]() |
적하대전 |
그림 |
• 고체표면에 부착해 있던 액체류가 성장하여, 이것이 물방울로 맺혀 떨어질 때 전하의 분리가 일어나 발생하는 정전기 |
![]() |
유도대전 |
그림 |
전력선의 정전유도 현상으로 근처에 도체가 대전되는 현상 | ![]() |
🔹 인체가 느끼는 정도
대전전위 |
인체 전격의 정도 |
비고 |
1,000V | 전혀 감지하지 못함 | |
2,000 V | 손가락 바깥쪽에 느껴지지만 통증은 없음 | 희미한 방전음발생 (감지 전압) |
3,000 V | 따끔한 통증을 느낌 | 방전의 발광을 봄 |
5,000 V | 손 바닥에서 팔꿈치까지 전기적 충격을 느끼는 통증 | 방전발광이 길어짐 |
8,000 V | 손 바닥에서 팔꿈치까지 저리는 무거운 통증 | |
10,000 V | 손 전체에 통증과 전기가 흐른 느낌을 받음 | |
12,000 V | 강한 전기적 충격으로 손 전체를 강타한 통증 |
정전기의 방전 |
🔹 정전기 방전의 원리
정전기가 발생되면 전하(+,-)의 형태로 에너지를 축적하게 된다. 이때, 정전기를 연속적으로 배출시켜 주지 못할 경우 축적된 전기에너지가 다른 에너지의 형태로 배출되게 되는데 에너지가 큰 경우 불꽃에너지의 형태로 배출되게 된다. 이 불꽃의 형태는 점화원 역할을 하게 된다.
🔹 방전의 형태
(1) 불꽃 방전 (Spark Discharge)
불꽃 방전은 표면전하밀도가 아주 높게 축적되어 분극화된 절연판 표면에 도체가 대전되었을 때 접지된 도체사이에서 발생하는 강한 발광과 파괴음을 수반하는 방전이다. 불꽃 방전은 방전에너지가 높아 재해나 장해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bEuhkY/btqDPYSB4F5/wCYxIkL88BZWtORgZYgEB0/img.png)
(2) 브러쉬 방전 (Brush Discharge)
곡률반경이 큰 도체(직경이 10mm이상)와 절연물질 (고체,기체)이나 저 전도율 액체 사이에서 대전량이 많을 때 발생하는 발광과 파괴음을 수반하는 방전을 브러쉬 방전이라 한다.
방전에너지가 커서 재해나 장해 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방전에너지는 4mJ 까지도 될 수 있으므로 가스, 증기 또는 민감한 분진에서 화재폭발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 위험도는 불꽃 방전과 코로나 방전의 중간위치에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C8pFa/btqDRv9vFkS/oWARRsDzCaV1mPHdO1sv71/img.png)
(3) 코로나 방전 (Corona Discharge)
고체에 정전기가 축적되면 전위가 높아지게 되고 고체 표면의 전위경도가 어느 일정치를 넘어서면 낮은 소리와 연한 빛을 수반한 방전이 생기게 되는데 이 현상을 코로나 방전이라 한다. 이는 고체표면에 접촉된 공기의 국부적인 절연파괴 현상으로 볼 수 있다. 코로나의 방전에너지는 낮으나 민감한 물질은 점화 폭발이 가능하다.
![](https://blog.kakaocdn.net/dn/Gured/btqDPZKHB2K/p05wkpklLN3BKxfQOXlq8k/img.png)
(4) 연면방전 (Creeping Discharge)
일반적으로 절연체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방전현상으로 공기 중에 놓여진 절연체 표면의 전계강도가 큰 경우 에 고체표면을 따라서 진행하는 발광이 동반된 방전.
연면방전은 Drum이나 Silo내의 분진이 다량의 전하를 보유할 때와 높은 대전상태의 엷은 층상부도체의 박리, 또는 엷은 층상의 대전된 부도체 뒷면에 근접한 접지체 가 있을 때 표면에 연한 복수의 수지상의 발광을 수반 하여 발생되는 방전으로 불꽃 방전과 마찬가지로 재해나 장해의 원인이 된다.
![](https://blog.kakaocdn.net/dn/bOpV63/btqDQTC01J1/zilPM9gOzc0INezT413Lx0/img.png)
다음 포스팅은 정전기 제어와 정전기 위험성평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정전기 측정기 문의
![정전기측정기](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dKXIq%2FbtrrcugT3j2%2FLFikIeE8T150ZxwmW6ylk0%2Fimg.png)
'S-안전 > 화공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Methylstyrene Storage Tank Safety (온도, 중합억제제, 산소) (3) | 2020.05.08 |
---|---|
정전기 안전 - 정전기 제어 (습도, MIE, 제거) (2) | 2020.05.03 |
위험성평가-KRAS기법 (7) | 2020.04.13 |
Breather valve (브리더 밸브)-안전밸브 (5) | 2020.04.11 |
방폭설비 곤지레다의 Drain Plug 반드시 설치해야 하나? (10) | 2020.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