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선릴(코드릴)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이유와 대책 |
2021년 7월 26일 오전 6시경 천안의 제조공장에서 사용중이던 전선릴 (electrical cable reels)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습니다. 아래의 사진은 해당 사고와 유사한 사진입니다. 합선에 의한 화재는 아닌데 Cable에서 화재가 발생합니다. 전선릴 (electrical cable reels)은 한국에서 코드릴 이라는 용어로 통용되기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전선릴 (electrical cable reels)에서 왜 화재가 발생하는지 고민해 보겠습니다.
1 전선릴의 위험성
과부하 & 과열 (Overloading & Overheating)
• 전기 케이블을 통해 전기가 흐를 때 케이블에서는 항상 약간의 열이 발생합니다. 이 열은 일반적으로 공기 중으로 열교환되어 열이 제거됩니다. 그러나 케이블 릴을 코일로 감은 상태에서 사용하게 되면 케이블에서 발생한 열이 사라지지 않고 축적이 됩니다. 코일로 감아 두었기 때문에 공기와의 접촉면적이 줄어들기 때문에 발생된 열이 원활히 제거되지 않는 것입니다.
• 케이블 릴은 주로 과부하 (overloading)에 의한 위험성이 있습니다. 장비에 전원을 공급하여 사용하는 동안 케이블 릴이 감겨 과열되어 화재가 발생합니다. 또한 케이블 또는 릴의 구조 안전성 결함으로 인하여 케이블의 절연되지 않은 부품에 의해 감전되거나 누전으로 인한 아크 화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케이블 릴이 과열된 결과 가연성 소재의 케이블 피복이 녹아 내리면서 화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케이블 또는 릴 손상 (Damage to Cables or Reels)
• 과부하, 과열에 의해 전선 피복이 녹아내리게 되면 절연에 문제가 생기고 벗겨진 피복에 의해 감전사고의 위험성에 노출될 것입니다. 또한 케이블이 문과 창문을 통과할 때 끼이거나 현장의 날카롭거나 거친 부분에 의해 케이블이 손상되었을 때 케이블 피복의 벗겨진 부분에 접촉 시 감전의 위험성이 있습니다.
• 또한 릴 자체가 파손되거나 손상된 경우 릴 내부의 전기가 흐르는 연결부 또는 기타 전기가 흐르는 부품을 만지면 감전될 수 있습니다.
2 전선릴의 안전조치
과부하 및 과열에 대한 보호
• 전선릴은 인증품을 사용하십시오
• 문어발식 전력기기를 사용할 경우 과부하가 걸려서 정상 상태보다 전선에 열이 발생하게됩니다. 정격용량 미만의 전력기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 코드릴이 감겨진 경우 열을 원활하게 방출하지 못하기 때문에 전선에 발열이 심한 경우 코드릴을 풀어주어야 합니다.
• 열 과부하 차단부가 있는 CE 마크 전선릴을 사용하십시오
접지
• 전기 설비가 적절하게 설치되고 접지되었는지 확인한다.
• 소켓 및 스위치와 같은 전기설비가 손상되거나 닳은 케이블에 그을린 자국이 있는지 확인한다.
• 확실하지 않은 경우 전기기술자가 설치를 검사하고 테스트하여 안전을 확인한다.
RCD 보호
• 케이블 릴과 케이블 릴을 통해 공급되는 모든 회로가 작동하는 잔류 전류 장치(RCD)에 의해 보호되는지 확인한다.
• RCD는 일반적으로 배전반에 있으며 테스트 버튼을 눌러 자주(최소 1년에 두 번) 테스트 한다.
• 최근에는 전선릴에 RCD가 부착되어 제작, 판매되고 있다.
※ 잔류 전류 장치 (RCD: Residual Current Device)
누전 차단기(residual-current device 또는 residual-current circuit breaker, RCD 또는 RCCB)는 에너지가 있는 도선과 중립 도선 사이의 전류 균형이 깨졌을 때, 전류를 차단하는 장치이다. 대개의 경우 사람이 에너지가 있는 도선에 접촉했을 때 전류 균형이 깨지며, 치사량의 전류가 흐를 수도 있다. 누전 차단기는 이 상황에서 전류를 차단하며, 과부하나 단락은 별도의 차단기가 감지한다.
해당 포스팅은 K-HSE의 나눔 활동 일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블로그 포스팅 내용은 안전보건환경에 관한 사고사례자료, 기술자료, 업무용 실무자료를 작성하여 배포하고 있습니다. 블로그 내용을 링크하여 사용하는 것은 허용됩니다. 단, 상업적 용도로 활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상업적 용도로 사용할 경우 ulsansafety@naver.com으로 동의를 받아 사용이 가능합니다. 댓글과 공감은 블로거에게 큰 에너지 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과 공감 부탁드립니다. 포스팅 일부 내용과 삽화 그림은 안전보건공단의 자료가 사용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실시간 소통 ▷ SHE실무방 "카카오 오픈 채팅방" 카 카오톡 ①번방 카카오톡 ②번방 ▷ ulsansafety 개인연락 ulsansafety 개인카톡 |
'S-안전 > 전기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안전관리법 시행규칙-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설비 전기안전관리자자체 감리, 전기설비로 기인한 사망자 발생시 전기안전종합정보시스템으로 입력 (2022.04.22) (0) | 2022.04.27 |
---|---|
전기 분전반 앞에 물건을 적치할수 있는가? 안전거리는? (0) | 2021.11.01 |
junction box(정션박스) / joint box(조인트박스) / terminal box(터미널박스)에 대하여 (0) | 2021.05.23 |
아크차단기, 전기재해 예방, KS C IEC 62606 (0) | 2021.03.16 |
건설공사장 가설전기 사용신청과 절차 (1) | 2021.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