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안전확인신고 대상 산업용로봇 안전성 인증하려면?
안녕하세요 (주)환경안전기술원입니다. 오늘은 산업현장에서 정밀하고 빠른 작업을 수행해생산성 향상에 효과적인 산업용로봇의
자율안전확인신고 컨설팅 후기를 준비했는데요, 위험성평가와 전기안전시험 등 안전성 인증을 위한 과정 한눈에 살펴보겠습니다.
산업용
로봇 |
⇒ 산업자동화 응용을 위한 자동제어와 프로그램이 가능한 3축 이상의 매니퓰레이터를 구비하고 고정 혹은 이동이 가능한 로봇
|
||
⇒ 기계류나 장비를 포함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로봇시스템과 그 보호영역
-산업용로봇 시스템 : 산업용로봇 + 말단장치(매니퓰레이터의 종단면에 부착하는 작업장치) + 센서 등 -산업용로봇 셀 : 하나 이상의 산업용 로봇 시스템 + 보호영역(방책, 울 등) |
그러나 사용률이 높아진 만큼 사고발생율도 무시할 수 없는데요,
산업용로봇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제조 및 수입시엔 반드시 자율안전확인신고를 완료해야 합니다.

오늘은 (주)환경안전기술원의 산업용로봇 자율안전확인신고 후기를 통해
기계의 위험성이 무엇인지, 안전성은 어떻게 확보해야 하는지 내용 담았으니
자율안전확인신고가 필요하시다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055-374-0337
그럼 후기에 앞서 산업용로봇 작업시 참고할 수 있는
안전보건규칙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 산업용 로봇 안전작업하기
안전보건규칙 제222조~224조
◆ 교시작업 중
⇒ 산업용로봇 작동범위에서 교시작업을 하는 경우에 로봇의 예기치 못한 작동 또는 오조작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준수사항
* 교시: 매니퓰레이터의 작동순서, 위치 및 속도의 설정 또는 그 결과 확인
① 지침 수립 및 지침에 의한 작업 이행
· 로봇의 조작방법 및 순서
· 작업 중의 매니퓰레이터의 속도
· 2명 이상의 근로자가 작업하는 경우 신호방법
· 이상을 발견한 경우의 조치
· 이상을 발견해 로봇의 운전을 정지시킨 후 재가동시킬 경우의 조치
· 그 밖에 로봇의 예기치 못한 작동 또는 오조작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
|
||
② 작업에 종사하고 있는 근로자 또는 그 근로자를 감시하는 사람은 이상을 발견하면 즉시 로봇의 운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조치 실시
|
||
③ 작업을 하고 있는 동안 로봇의 기동스위치 등에 작업중이라는 표시를 하는 등 작업에 종사하고 있는 근로자가 아닌 사람이 그 스위치 등을 조작할 수 없도록 필요한 조치 실시
|
◆ 운전 중
① 산업용 로봇의 운전으로 인해 근로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부상 등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높이 1.8m 이상의 울타리를 설치
* 교시 등을 위한 운전과 로봇 운전 중 작업을 하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로서 로봇의 예기치 못한 작동 또는 오조작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한 경우엔 예외
* 로봇의 가동범위 등을 고려해 높으로 인한 위험성이 없는 경우에는 높이를 그 이하로 조절 가능(KS B ISO 13857)에 따른 안전거리* 확보시 높이 1,400mm이상 울타리 가능)
|
||
② 컨베이어 시스템의 설치 등으로 울타리를 설치할 수 없는 일부구간에 대해서는 안전매트 또는 광전자식 방호장치 등 감응형 방호장치 설치
* 해당 로봇의 안전기준이 한국산업표준에서 정하고 있는 안전기준 또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안전기준에 부합한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예외 가능
|
||
③ 작업을 하고 있는 동안 로봇의 기동스위치 등에 작업중이라는 표시를 하는 등 작업에 종사하고 있는 근로자가 아닌 사람이 그 스위치 등을 조작할 수 없도록 필요한 조치 실시
|
※ KS B ISO 13857 에 따른 안전거리

◆ 수리 등 작업시
산업용 로봇 작동범위에서 해당 로봇의 수리, 검사, 조정(교시 등은 제외), 청소, 급유 또는 결과에 대한 확인작업을 하는 경우 해당 작업제 종사하고 있는 근로자가 아닌 사람이 기동스위치를 조작할 수 없도록 필요한 조치를 실시
|


자율안전확인신고 대행 후기
출장지 : 부산광역시
대상품 : 산업용로봇
✔ 주요 위험요인 및 안전대책 확인
|



🔎 회전체 말림방지를 위한 안전덮개 설치
🔎 산업용 로봇에 접근을 방지하기 위한 방호울 구조로 설치
🔎 비상상황 발생시 기계를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정지장치 설치
|
⇒ 산업용로봇의 주요 위험원 끼임 및 협착에 대한 방호장치를 확인합니다. 이렇게 현장에서 확인한 사항을 기반으로 위험성평가서를 작성하고 있어 방호장치가 적법하게 설치되지 않았거나, 누락되었을 경우엔 정확한 가이드를 제시해 보완가능하도록 도와드립니다.
✔ 전기안전시험
|


🔎 KOLAS 공인시험기관 자격을 바탕으로 전문 컨설턴트가 산업용로봇의 필수 시험인 1. 접지연속성시험, 2.절연저항 시험을 실시하고 성적서를 발급합니다. 전자파적합성 시험 성적서가 요구될 경우엔 (주)환경안전기술원과 MOU협약을 맺은 기관과 함께 방문해 실시하고 있으니 전기안전시험에 대한 부담 덜어보실 수 있습니다.
|
(주)환경안전기술원의 전문 컨설턴트가 복잡한 절차는 생략해드립니다!
(주)환경안전기술원의 자율안전확인신고 컨설팅 후기 더보기는 아래 포스팅으로 이동해주세요 ^_^
자율안전확인신고 대상 산업용로봇 안전성 인증하려면?
산업현장에서 정밀하고 빠른 작업을 수행해 생산성 향상에 효과적인 산업용로봇! 그러나 사용률이 높아진 ...
blog.naver.com